스토리1

[스크랩] 추수감사절 (11/18)

이아기 2007. 11. 23. 23:21

 추수감사절 (11/18)


   추수감사절      


 

   

      추수감사절[秋收感謝節,Thanksgiving]

첫 수확을 하느님에게 바쳐 감사한
일에서부터 비롯된 국민적 축제
.

 고구려 동맹, 부여 영고(迎鼓),

동예(東濊) 무천(舞天),

신라의 가배(嘉俳)

 추수감사절.

 추수감사절 [秋收感謝節, Thanksgiving Day]

 

 

메이플라워호(號)로 신대륙에 이주한 반(反)영국 국교회파
프로테스탄트교도들(필그림 파더스라 함)이,
첫 수확을 하느님에게 바쳐 감사한 일에서부터 비롯된 국민적 축제일.

크리스마스와 같이 성대하며 11월 제4목요일에 행한다.
이와 유사한 풍습은 세계 각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.

 

 

첫 번째 추수감사절의 정확한 날짜는 남아있지 않지만 9월말부터 11월초로 추정된다.

미국이 독립한 후 의회는 일년에 한 번 온 나라가 축하할 수 있는

감사의 날을 지정하자는 의견을 제시했고 워싱턴(George Washington) 대통령은

그것을 11월 26일로 정했다. 그 후 링컨(Abraham Lincoln) 대통령 때

그것은 11월의 마지막 목요일로 바뀌었다.

 1939년 프랭클린 루즈벨트(Franklin D. Roosevelt)

대통령이 크리스마스 전에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

그보다 일주일을 앞당겼으나 1941년에 다시 11월 마지막 목요일로 확정되었다.


 우리나라의 풍습


한국에서는 고구려 때 동맹(東盟)이라 하여,
10월에 전부족이 한 자리에 모여 그들의 선조인 주몽신(朱蒙神)과
그의 생모 하백녀(河伯女)를 제사하고, 풍성한 수확을 주신 천신에게
감사하는 농제(農祭)를 올렸다고 중국 《위지(魏志)》의 <동이전(東夷傳)>에 전한다.

이러한 의식은 고구려뿐만 아니라 부여에서 영고(迎鼓),
동예(東濊)에서는 무천(舞天)이라는 제천의식이 있었다고 하는데,
이것도 일종의 추수감사절이라고 할 수 있다. 또한 신라의 가배(嘉俳)에서
유래한 음력 8월 보름의 한가위에는 햅쌀로 송편을 빚어서
차례(茶禮)를 올리는 풍습이 지금도 행해지고 있다. 

 

       

오늘은 모두에게 충만함과 축복으로
풍요로움을 함께 나누는 날이 되세요
서로 아낌없이 감사하는 날입니다.

-좋은하늘-


추수감사절 [秋收感謝節, Thanksgiving Day]      2007.11.18.

출처 : 추수감사절 (11/18)
글쓴이 : 좋은하늘 원글보기
메모 :